본문 바로가기

아롱이의 재테크 😽💰😽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부채비율’, ‘유보율’이란?

반응형


주식 투자에 앞서 꼭 확인해야 하는 두 가지 재무 지표, 부채비율과 유보율!
이 글에서는 부채비율과 유보율의 정확한 뜻과 계산법,
좋은 기업을 고르기 위한 실전 활용법까지 아주 쉽게 설명합니다.
이제 재무제표가 두렵지 않다냥!


부채비율이란? 기업의 빚이 얼마나 많은지 알려주는 지표

부채비율은 부채가 자기자본의 몇 퍼센트인지 나타내는 비율이에요.

  • 공식: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부채총계가 5,000억 원이고 자기자본이 2,500억 원이라면?

부채비율 = 5,000 ÷ 2,500 × 100 = 200%

즉, 이 기업은 자기 돈 1원당 2원의 빚을 지고 있는 상태예요.


부채비율이 높으면 위험한가요?

일반적으로는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가 안정적이라고 봐요.
하지만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요!

부채비율 수준의미
100% 이하 매우 안정적
100~200% 일반적인 범위
200% 이상 리스크 존재 가능성
400% 이상 경영 악화 위험 경고

✅ 업종별 특성도 고려해야 해요

  • 건설업/항공업 등은 자산 규모가 크고 부채도 많기 때문에 비율이 높아도 정상
  • IT, 제약, 소비재는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음

유보율이란? 위기에 대비한 자산 여유

유보율은 기업이 순이익을 쌓아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예요.
쉽게 말하면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버틸 수 있는 비상금” 같은 개념이에요.

  • 공식: 유보율 = 이익잉여금 ÷ 자본금 × 100

예를 들어,
이익잉여금이 1,200억 원이고 자본금이 300억 원이라면?

유보율 = 1,200 ÷ 300 × 100 = 400%

즉, 자본금의 4배에 해당하는 이익을 쌓아두고 있다는 뜻이에요.


유보율은 얼마나 높아야 좋은가요?

유보율 수준의미
100% 미만 유보금이 적음, 위기 대응력 ↓
200~500% 적절한 수준
500% 이상 안정적이지만, 배당이 낮을 수도 있음
1,000% 이상 초우량기업 가능성 (ex. 삼성전자 등)

✅ 유보율과 배당의 상관관계

  • 유보율이 너무 높으면 배당금 지급을 줄일 가능성도 있어요
    → 주주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배당 정책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냥!

부채비율과 유보율을 함께 봐야 하는 이유

이 두 지표는 기업의 안정성을 반대로 보여주는 쌍둥이 지표예요.

  • 부채비율 ↓, 유보율 ↑ → 매우 안정적인 재무 구조
  • 부채비율 ↑, 유보율 ↓ → 리스크 매우 높음

✅ 예시 비교

기업 부채비율 유보율 평가
A기업 60% 800% 매우 안정적
B기업 250% 300% 보통, 업종 따라 해석
C기업 480% 90% 재무 리스크 높음

🐾 아롱이 TIP:
 “빚이 적고, 비상금 많은 기업”이 가장 건강하다냥!


실전 활용법: 부채비율과 유보율로 종목 거르기

✅ ① 스크리닝 기준 설정

  • 부채비율 150% 이하
  • 유보율 300% 이상
    → 이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만 필터링해보기

✅ ② 업종 특성 이해하기

  • 건설/운수업은 200% 이상도 일반적
  • 제약/IT/서비스업은 100% 이하면 안정적

✅ ③ 실적 흐름과 함께 보기

  • 유보율이 높은 기업이 매출/순이익도 증가하면 우량 가능성↑
  • 부채비율이 낮아졌다면, 부채 상환 중일 수도 있어요!

부채비율과 유보율 확인 방법

✅ 네이버 증권 기준

  1. 종목 검색
  2. ‘재무제표’ → ‘요약 재무정보’ 클릭
  3. 부채총계 / 자본금 / 이익잉여금 확인
  4. 직접 계산 or 자동 지표 보기

✅ HTS(MTS) 사용 시

  • 요약 재무제표 or ‘재무비율’ 항목에서 직접 확인 가능
  • 일부 증권사는 부채비율/유보율 정리표도 제공!

아롱이의 마무리 한마디

“주식은 성장성도 중요하지만,
기본 체력이 강한 기업에 투자하는 게 가장 안전하다냥!”

부채비율과 유보율만 제대로 체크해도
실적이 아무리 좋아 보여도 불안한 기업을 걸러낼 수 있어요.

오늘부터는 주식 사기 전에 꼭
“빚은 얼마나 되지?”, “이익은 얼마나 쌓아뒀지?”
이 두 가지를 확인해보자냥~
재무 안정성까지 따지는 진짜 투자자로 거듭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