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롱이의 재테크 😽💰😽

PER, PBR? 주식 투자 기본 용어 쉽게 이해하기

반응형


PER, PBR, ROE, EPS… 주식 투자에서 자주 마주치는 기본 용어들!
처음엔 낯설지만, 알고 보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재무 지표랍니다.
이 글에서는 PER과 PBR의 뜻과 계산법, 투자자에게 주는 의미,
그리고 함께 알아두면 좋은 주식 기초 용어까지 친절하게 설명해드릴게요.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PER은 Price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불려요.

  • 공식: PER = 현재 주가 ÷ 주당순이익(EPS)
  • 의미: 내가 투자한 금액을 수익으로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PER이 10이라면,
현재 수익 수준이 계속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내가 투자한 금액을 10년 동안 이익으로 회수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PER이 낮을수록 좋은가?

일반적으로는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
PER이 높을수록 고평가로 간주해요. 하지만 주의할 점도 있어요:


 

PER 수준해석
낮음 저평가 or 성장 둔화 우려
높음 고평가 or 성장 기대감 반영

PER만으로 판단하면 안 되고,
같은 업종 내 다른 기업들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냥!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이에요.

  • 공식: PBR = 현재 주가 ÷ 주당순자산(BPS)
  • 의미: 회사의 장부상 가치 대비 주가 수준

예를 들어,
PBR이 1이면
회사의 자산 가치와 주가가 같다는 뜻이에요.

PBR이 낮을수록 좋은가?

보통 PBR이 1보다 낮으면 저평가라고 여겨지지만,
낮은 PBR은 사업성 악화 우려일 수도 있어요.

PBR의 해석 기준

PBR 수준의미
1 이상 시장이 기업 가치를 높게 평가
1 이하 자산가치보다 주가가 낮음 → 저평가 or 리스크 존재

PER과 PBR을 함께 보는 이유

PER과 PBR은 서로 다른 관점이에요:

  • PER: 이익 기반 → 수익성과 성장성
  • PBR: 자산 기반 → 안정성과 청산 가치

그래서 투자자들은 이 두 가지 지표를 함께 보고
**'싸고 이익도 잘 나는 기업'**을 찾는 데 사용해요.

✅ 예시: 저PER + 저PBR

  • PER: 6 / PBR: 0.8 → 매우 저평가?
    → 기업의 이익과 자산 가치를 고려해 투자 가치 판단

함께 알아두면 좋은 기본 용어 4가지</h2> <h3>

1.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 공식: EPS = 순이익 ÷ 주식 수 - 의미: 주당 얼마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 → EPS가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기업!

2. BPS (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

- 공식: BPS = 순자산 ÷ 주식 수 - 의미: 회사 청산 시 1주당 받을 수 있는 자산 가치 → 안정성 판단 기준

3.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 공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 의미: 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굴리고 있는지 → 높을수록 수익을

잘 내는 회사!

4. 시가총액

 - 공식: 시총 = 주가 × 주식 수 - 의미: 기업의 시장 평가 가치 → 대형주/중형주/소형주 분류 기준


실전 예시로 보는 PER과 PBR 비교

✅ 삼성전자 (예시 수치)

항목
주가 70,000원
EPS 6,500원
BPS 40,000원
PER 약 10.8배
PBR 약 1.75배
ROE 16% 수준

→ PER도 무난, PBR도 1 이상으로
시장에서도 안정성과 수익성을 모두 인정받는 기업

✅ 중소형 저PBR 기업 예시

항목
PER 4배
PBR 0.6배
EPS 안정적
→ 저평가 상태지만, 실적이 불안하면 저평가의 이유가 있음!  

초보 투자자에게 추천하는 활용법

✅ 1. 단순 수치보다 '비교'를 우선!

  • PER 10이라도, 업종 평균이 20이면 저평가
  • PBR 1.2라도, 경쟁사가 3이라면 저평가 가능성

✅ 2. ROE와 함께 보기!

  • ROE가 높고, PER/PBR이 낮은 기업 → 숨은 진주 가능성!

✅ 3. 실적 발표 시즌에 주목하기!

  • 분기 실적 발표 후 EPS와 PER이 갱신되므로
  • 주가 흐름 변화와 함께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

아롱이의 귀엽고 현실적인 조언

  • PER이 낮다고 무조건 싸지 않아요!
    → 실적 악화로 주가가 떨어진 기업일 수도 있어요!
  • PBR이 낮다고 무조건 가치 있는 것도 아니에요!
    → 청산 가치보다도 회사 지속성이 중요해요!
  • PER, PBR, ROE, EPS는 함께 조합해서 봐야 진짜 투자 판단이 가능하다냥!

"숫자는 어렵지만, 의미는 쉽다!
오늘부터 아롱이와 함께 재무제표도 무섭지 않다냥~!"

반응형